맨위로가기

힘줄 (음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힘줄은 고기, 연골, 힘줄로 만든 요리 재료를 의미하며, 특히 소의 힘줄을 활용한 요리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탈리아, 한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 다양한 국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어 왔으며, 특히 일본에서는 오뎅의 재료로, 서일본 지역에서는 스지콘, 오코노미야키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쇠심은 오랜 시간 끓여 부드럽게 만들며, 젤라틴 성분이 풍부하여 젤리 형태의 요리로도 활용된다. 과거에는 식품 폐기물로 취급되기도 했지만, 현재는 수요가 증가하여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속 고기 - 염통
    염통은 어류, 조류, 포유류의 심장을 식재료로 사용하는 것으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구이, 꼬치, 조림 등 여러 방식으로 조리된다.
  • 부속 고기 - 닭발
    닭발은 닭의 발 부위를 식용으로 하는 것으로, 한국에서는 매운 양념으로 볶거나 구워 먹고 중국, 동유럽,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어 섭취된다.
  • 딤섬 - 춘권
    중국에서 유래한 춘권은 얇은 반죽에 채소나 고기 등을 넣어 튀기거나 굽는 음식으로, 봄철 명절 음식으로 유명하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과 재료, 조리법으로 세계 각지에서 즐겨 먹는다.
  • 딤섬 - 훙더우탕
    훙더우탕은 팥을 주재료로 하여 달콤하게 만든 중국의 전통 디저트로, 다양한 재료를 추가하여 만들 수 있으며 한국의 팥죽과 유사하지만 쌀 외의 재료를 넣어 변형하는 것이 특징이다.
  • 인도네시아 요리 - 엠파나다
    엠파나다는 "빵을 입히다"라는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구운 또는 튀긴 패스트리로,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와 맛으로 발전하여 지역 고유의 재료와 조리법을 반영하고 있다.
  • 인도네시아 요리 - 발리 요리
    발리 요리는 밥을 주식으로 다양한 재료와 풍부한 향신료를 사용하여 다채로운 풍미를 내는 인도네시아 발리섬의 독특한 요리 문화이며, 힌두교 전통에 따라 종교 의식에 사용되는 음식이 있고 바비 굴링, 베투투와 같은 특색 있는 요리가 발달했다.
힘줄 (음식)
개요
명칭힘줄 (음식)
종류식재료
부위근육과 뼈를 잇는 결합 조직
특징질기고 콜라겐 풍부
조리 및 활용
조리법장시간 삶기

볶음
활용 요리스지찜
스지 어묵탕
도가니탕
스지 수육
힘줄 볶음
카레라이스
오뎅
니코미
족발
닭갈비
각국 명칭
한국어힘줄
일본어스지 (일본어: スジ, 筋)
영어Tendon

2. 요리

쇠고기 힘줄 조림


쇠심은 오랫동안 끓이면 부드러워지고 요리 중 환기가 필요할 정도의 냄새도 사라지며 육수가 나온다. 일본에서는 오뎅 재료로 널리 사용되며, 특히 서일본에서 소 힘줄을 곤약과 함께 설탕, 간장으로 달콤 짭짤하게 조리한 스지콘 등으로 불리는 요리가 발달했다. 오코노미야키, 네기야키, 야키소바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가정에서 조리 시 압력솥을 사용하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기름이 많은 식재료이므로 끓인 후 떠오르는 지방을 제거해야 하는데, 하룻밤 차게 하면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대량으로 끓여 냉동 보관하면 편리하다. 힘줄과 끓인 국물은 젤라틴질이 풍부하여 채소 등과 함께 차게 하면 젤리 조림이나 졸임이 된다. 젤라틴질은 콜라겐과 같으므로 미용을 위해 섭취하기도 하지만, 기름에 유의해야 한다.

2. 1. 한국

한국 요리에서 쇠심은 회로 먹거나 나물로 데쳐 먹기도 한다.[7] 쇠심을 먹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고압으로 쪄서 부드럽게 만드는 것이다. 찐 쇠심은 파와 간장에 곁들여 먹거나, 설렁탕에 넣어 제공되기도 한다.

2. 2. 중국

중국에서는 쇠심을 마늘에 절여 만든 (蒜爆牛筋)이 인기 있으며, 딤섬 음식점에서 자주 제공된다.[4]

2. 3. 일본

일본 요리에서 쇠심은 "규스지"()라 불리며 오뎅의 일반적인 재료로 사용된다.[6]

힘줄은 오랫동안 끓이면 부드러워지고, 요리 중에 환기가 필요할 정도의 냄새도 사라지며, 육수가 나오기 때문에, 오뎅의 재료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동일본의 일반 가정에서 요리에 사용되는 경우는 적지만, 서일본에서는 소 힘줄을 다른 요리의 식재료로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발전하여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고 있다. 서일본에서는 주로 소 힘줄과 곤약을 끓여 설탕과 간장으로 달콤 짭짤하게 간을 해서 이용하고 있으며, 이것을 특히 스지콘, 봇카케(고베시 나가타 부근), 코로(하리마 부근) 등으로 부르며, 그대로 또는 오코노미야키, 네기야키, 야키소바, 우동, 라디오야키(타코야키의 원형이며, 문어 대신 간을 한 소 힘줄을 넣은 것), 카레 등의 재료가 되고 있다.

가정에서 끓일 때는, 압력솥을 사용하면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어 편리하다. 사용하는 부위에 따라서는, 상당히 기름이 강한 식재료이므로, 끓인 국물 위에 떠오르는 지방분을 꼼꼼하게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하룻밤 차게 하면 지방이 굳으므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대량으로 끓여서 소분한 것을 냉동해두면 편리하다.

또한, 힘줄 및 그 끓인 국물은 다량의 젤라틴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간을 해서 끓인 채소 등과 함께 차게 하면 굳어져, 젤리 조림이나 졸임이 된다. 젤라틴질은 콜라겐 덩어리와 같은 것이므로, 미용을 의식하여 먹는 것도 권장되지만, 그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기름에 대해 유의하는 것이 좋다.

2. 4. 동남아시아

인도네시아에서는 쇠심을 넣은 바크소uratid, 소토kakiid, 미 코촉 등의 요리가 있다. 바크소는 힘줄 조각으로 채워진 소고기 완자이며, 소토는 소 다리 힘줄을 포함하는 매콤한 소 족발 수프이다. 미 코촉은 완자, 콩나물, 소 힘줄 조각이 들어간 국수이다.

필리핀에서는 쇠심을 리티드(litid)라고 부르며, 몇 시간 동안 끓여 끈적하고 젤라틴 상태로 만들어 불랄로[8]나 파레스[9] 등에 사용한다.

태국 요리에서 힘줄(เอ็นth)은 과 같은 국수에 종종 추가된다.[10]

베트남 요리에서는 쇠심을 쌀국수에 넣어 먹기도 한다.

3. 쇠심의 종류 및 특징 (일본)

일본에서는 쇠심을 크게 세 종류로 구분한다. 유통되는 쇠심(스지, すじ)의 대부분은 육우의 것이며, 소의 아킬레스건은 특히 "소 스지(牛スジ)"라고 불린다.[1] 쇠심은 지방에 따라 가게에서 구하기 어려워, 생고기 상태로 구하려면 정육점에 미리 예약이나 주문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손질을 거쳐 포장된 상태로 대형 슈퍼 등에서 판매되기도 한다. 규슈에서는 생고기 상태로 항상 슈퍼의 정육 코너에 진열되어 있다.[1]

3. 1. 아킬레스건

크고 원통형의 다리 힘줄 자체로, 대부분 힘줄 부분이며 기름은 적다. 힘줄 부위 중 가장 맛있다고 여겨지지만, 구하기 어려운 지역도 있다. 규슈에서는 일반 슈퍼에서도 판매되고 있다.[1]

3. 2. 일반 힘줄

고기를 부위별로 자를 때, 손질 과정에서 고기에 붙어 있는 불필요한 힘줄을 제거하여 모은 것이다. 잘게 썰린 것이 많으며, 고기로 여겨지는 부분도 많이 붙어 있지만, 처리되지 않은 기름도 많이 붙어 있다.[1] 소 힘줄이 내장과 혼동되는 경우도 있지만, 엄밀히 말해 힘줄은 곱창과 다른 부위이다.[1]

3. 3. 멘브레인(막)

안창살 바깥쪽에 붙어 있는 막 모양의 부위를 벗겨낸 것이다. 흰 판 모양이며, 처리 과정에서 기름을 붙인 채로 두는 경우도 있다. 편의점 등에서 판매되는 오뎅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식품의 원재료명에 '안창살'이라고 기재되기도 한다.

소 힘줄은 내장과 혼동되기도 하지만, 이는 내장 부위가 일부 섞여 있거나 막 자체가 내장으로 취급되기 때문이다. 엄밀히 말해 힘줄은 곱창과 다른 부위이다.

4. 쇠심 조리 방법

쇠심은 질긴 부위이므로 오랜 시간 끓여 부드럽게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압력솥을 사용하면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끓이는 과정에서 떠오르는 지방을 제거하면 깔끔한 맛을 낼 수 있다. 끓인 쇠심과 국물은 젤라틴이 풍부하여 젤리 형태의 졸임 요리로 만들 수도 있다.

힘줄은 오랫동안 끓이면 부드러워지고, 요리 중에 환기가 필요할 정도의 냄새도 사라지며, 육수가 나오기 때문에, 오뎅의 재료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동일본의 일반 가정에서 요리에 사용되는 경우는 적지만, 서일본에서는 소 힘줄을 다른 요리의 식재료로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발전하여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고 있다. 서일본에서는 주로 소 힘줄과 곤약을 끓여 설탕과 간장으로 달콤 짭짤하게 간을 해서 이용하고 있으며, 이것을 특히 스지콘・봇카케(고베시 나가타 부근)・코로(하리마 부근) 등으로 부르며, 그대로 또는 오코노미야키・네기야키・야키소바・우동・라디오야키(타코야키의 원형이며, 문어 대신 간을 한 소 힘줄을 넣은 것)・카레 등의 재료가 되고 있다.

가정에서 끓일 때는, 압력솥을 사용하면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어 편리하다. 사용하는 부위에 따라서는, 상당히 기름이 강한 식재료이므로, 끓인 국물 위에 떠오르는 지방분을 꼼꼼하게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하룻밤 차게 하면 지방이 굳으므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대량으로 끓여서 소분한 것을 냉동해두면 편리하다.

또한, 힘줄 및 그 끓인 국물은 다량의 젤라틴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간을 해서 끓인 채소 등과 함께 차게 하면 굳어져, 젤리 조림, 또는 졸임이 된다. 젤라틴질은 콜라겐 덩어리와 같은 것이므로, 미용을 의식하여 먹는 것도 권장되지만, 그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기름에 대해 유의하는 것이 좋다.

5. 기타

과거에는 쇠심이 식품 폐기물로 취급되기도 했으나, 2000년대 이후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수요가 증가했다.[11] 사슴의 힘줄은 조림 요리 등에 이용된다.[12] 사슴의 아킬레스건을 말린 것은 예로부터 한약에서 녹근(鹿筋)이라 칭하며 한습 치료에 이용되었다.[13]

참조

[1] 뉴스 Beef Tendon http://www.phoenixne[...] 2015-10-15
[2] 뉴스 Hot food: Beef tendon http://www.goodfood.[...] 2015-10-15
[3] 뉴스 Puff, Puff, Tendon: A Contemporary Crunch at Lukshon http://www.lamag.com[...] 2015-10-15
[4] 웹사이트 Braised Tendon with Scallions: Chinese Recipe http://www.chinatown[...] 2015-10-15
[5] 웹사이트 Nervetti {{!}} Traditional Meat Jelly Dish From Milan {{!}} TasteAtlas https://www.tasteatl[...] 2024-03-11
[6] 뉴스 A hodgepodge that really hits the spot http://www.japantime[...] 2015-10-15
[7] 웹사이트 Soesim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10-12
[8] 웹사이트 Litid Bulalo, Beef Tendon Soup https://www.overseas[...] 2023-11-21
[9] 웹사이트 The Best Goto and Pares Recipes with Beef Tendon https://www.youtube.[...] 2023-11-21
[10] 문서 Guay tiew nuea toon (steamed beef noodles) at Wattana Panich in Bangkok http://bk.asia-city.[...]
[11] 서적 SUJI MADNESS―男の料理 すじ肉 マガジンハウス
[12] 웹사이트 トピックス3 消費が広がるジビエ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0-03-04
[13] 학술지 琉球におけるシカの利用と移入の目的について(補遺) https://hdl.handle.n[...] 沖縄県教育委員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